Markdown 문법 및 사용법
최근 업데이트 날짜:
1. 헤더
1.1. h1~h6
# h1
## h2
### h3
#### h4
##### h5
###### h6
h1
h2
h3
h4
h5
h6
#을 붙여서 헤더를 사용할 수 있다. h1 부터 h6까지 지원한다.
1.2. h1, h2
h1
===
h2
---
h1
h2
h1과 h2는 ===과 ---로 사용할 수도 있다.
2. 강조
2.1 기울이기
_언더바_ 혹은 *별표*를 통해 기울일 수 있다.
언더바 혹은 별표를 통해 기울일 수 있다.
2.2 굵게
__언더바 2개__ 혹은 **별표 2개**를 통해 굵게 쓸 수 있다.
언더바 2개 혹은 별표 2개를 통해 굵게 쓸 수 있다.
2.3 기울이기 + 굵게
_기울이기_, **굵게**를 **_같이_** 사용할 수 있다.
기울이기, 굵게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.
2.4 취소선
~~물결 2개~~를 통해 취소선을 사용할 수 있다.
물결 2개를 통해 취소선을 사용할 수 있다.
3. 줄바꿈
2칸 이상
띄어쓰기를 통해<!--오른쪽 드래그 시 띄어쓰기 확인 가능-->
줄바꿈을 할 수 있다.
2칸 이상
띄어쓰기를 통해
줄바꿈을 할 수 있다.
띄어쓰기 2개를 넣지 않은 곳은 줄바꿈이 되지 않았다.
4. 인용
> 인용은
> > 중첩하여
> > > 사용할 수 있다.
인용은
중첩하여
사용할 수 있다.
5. 리스트
5.1. 순서 있음
1. 1번
2. 2번
3. 3번
- 1번
- 2번
- 3번
숫자를 꼭 순서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.
3. 1번
1. 2번
2. 3번
- 1번
- 2번
- 3번
숫자를 마음대로 사용했지만 순서대로 출력된다.
5.2. 순서 없음
- 철수
- 훈이
- 맹구
- 철수
- 훈이
- 맹구
* 철수
* 훈이
* 맹구
- 철수
- 훈이
- 맹구
+ 철수
+ 훈이
+ 맹구
- 철수
- 훈이
- 맹구
세 방법 모두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.
5.3. 혼용 및 계층 구조 가능
1. 1번
- 철수
+ 훈이
2. 2번
* 맹구
- 짱구
3. 3번
- 1번
- 철수
- 훈이
- 2번
- 맹구
- 짱구
- 맹구
- 3번
1.
,2.
,3.
(순서 있음)과-
,+
,*
(순서 없음)을 섞어서 사용할 수 있고 계층 구조가 가능하다.
6. 코드
6.1. 인라인 코드
`인라인 코드` 강조!
인라인 코드
강조!
6.2. 코드 블록 (```)
``` c
String language = "C";
```
``` javascript
var language = "javascript";
```
``` bash
The language is bash!
```
String language = "C";
var language = "javascript";
The language is bash!
``` 옆에 사용할 언어를 적는다.
6.3. 코드 블록(들여쓰기 tab)
이것은
코드블록
입니다.
이것은
코드블록
입니다.
들여쓰기 사용 시, 꼭 코드블록 위 아래 한 줄 씩을 띄어야 한다.
7. 나눔선(Divider)
---
나눔선1
___
나눔선2
***
나눔선3
나눔선1
나눔선2
나눔선3
세 방법 모두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.
8. 링크
8.1. 외부링크
[보여질 이름](주소, "추가 설명. 필수X")
[Github](http://github.com "깃헙으로 이동")은 외부링크이다.
Github은 외부링크이다.
8.2. 내부링크
[보여질 이름](주소, "추가 설명. 필수X")
[카테고리](/categories "카테고리로 이동")는 내부링크이다.
카테고리는 내부링크이다.
8.3. 참조 링크
[보여질 이름]: (주소, "추가 설명. 필수X")
[Google]: http://google.com "구글로 이동"
[Google]은 참조링크이다.
Google은 참조링크이다.
8.4. 간편링크
<>안에만 넣어도 생성된다: <http://google.com>
<>안에만 넣어도 생성된다: http://google.com
9. 사진


9.1. 사진 링크
[](/assets/markdown/pasta.png)
링크로 감싸주기만 하면 된다. 이미지 클릭 시 연결된 url로 이동한다.
10. 테이블
| 기본 정렬 | 왼쪽 정렬 | 가운데 정렬 | 오른쪽 정렬 |
| ---------- | :--------- | :---------: | ---------: |
| 1 | 2 | 3 | 4 |
| 11 | 22 | 33 | 44 |
| 111 | 222 | 333 | 444 |
기본 정렬 | 왼쪽 정렬 | 가운데 정렬 | 오른쪽 정렬 |
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
11 | 22 | 33 | 44 |
111 | 222 | 333 | 444 |
:
을 사용해서 정렬 기준을 정할 수 있다.
댓글남기기